맨위로가기

톰 봄바딜의 모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톰 봄바딜의 모험》은 J.R.R. 톨킨이 쓴 시집으로, 호빗들이 즐겨 읽는 시라는 설정을 담고 있다. 1962년에 출판되었으며, 톰 봄바딜을 주인공으로 한 두 편의 시를 포함하여 총 16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시집에는 자연의 영이자 트릭스터인 톰 봄바딜, 요정과 트롤, 달에 사는 남자 등 다양한 등장인물이 등장하며, 톨킨의 다른 작품들과 연관된 시들도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은 톨킨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인간의 탐욕에 대한 비판, 그리고 덧없는 인생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환경 문제, 물질만능주의, 세대 간 단절 등과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집 - 에다
    에다는 고대 노르드어로 된 문헌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크게 《고 에다》와 《산문 에다》로 나뉘어 노르드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시집 - 시적 스케치
    윌리엄 블레이크가 1783년에 발표한 시집 《시적 스케치》는 그의 초기 작품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초기 낭만주의 경향과 사회 비판 의식을 엿볼 수 있는 과도기적 작품이자 초기 작품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가운데땅 - 나마리에
    나마리에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갈라드리엘의 퀘냐 시로, 로리엔에 대한 탄식과 발리노르의 풍경 묘사, 만웨와 바르다에게 바치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여러 음악가에 의해 곡으로 만들어지고 레드 제플린의 노래에 영향을 주었고, 퀘냐 후기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텍스트이다.
  • 가운데땅 - 에레보르
    에레보르는 《호빗》에 등장하는 외로운 산이자 난쟁이들의 고향으로, 용 스마우그의 침략으로 폐허가 되었지만 이후 탈환되어 반지 전쟁 시기에 자유민들의 요새 역할을 수행하고 재건되었다.
  • 1962년 책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1962년 책 - 우리 민족의 나갈 길
    《우리 민족의 나갈 길》은 박정희가 민족의 위기 극복과 국가 건설을 위해 민족적 각성, 사회 재건, 경제 자립, 건전한 민주주의를 강조하며 제시한 저서이다.
톰 봄바딜의 모험 - [서적]에 관한 문서
책 정보
제목톰 봄바딜의 모험 및 적색 책에 담긴 다른 시들
원제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 and Other Verses from the Red Book
저자J. R. R. 톨킨
삽화가폴린 베인즈
국가영국
언어영어
장르
출판사조지 앨런 & 언윈
출판일1962년
매체 형식인쇄 (하드커버, 페이퍼백)
페이지 수304 (페이퍼백)
ISBN978-0007557271
삽화
표지 그림
연대기
이전 작품반지 전쟁
다음 작품나무와 잎

2. 구성

이 시집은 호빗들이 즐겨 읽었던 16편의 시를 모은 것이다. 모두 영어로 되어 있으며, 반지의 제왕에 언급된 시도 포함되어 있다. 톨킨은 서문에서 이 시들이 호빗족의 "서쪽 변경의 붉은 표지 책"에 실려 있던 시들을 모은 것이라고 설명한다. 각 시는 호빗족의 전설, 유쾌한 이야기, 또는 반지의 제왕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톰 봄바딜의 모험 시 구성
분류번호제목원어 제목날짜비고
톰 봄바딜1톰 봄바딜의 모험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1934년캐릭터의 이름은 톨킨의 아이들이 소유한 네덜란드 인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3]
톰 봄바딜2봄바딜은 보트를 타러 간다Bombadil Goes Boating1962년책을 위해 쓰여진 유일한 시.
요정3무예 수련Errantry1933년"에아란딜의 노래"와 운율, 박자 및 일부 대사가 비슷하다.
요정4나의 공주Princess Mee1924년원래의 이름은 "The Princess Ni"
달에 사는 남자5달에 사는 사나이는 너무 늧게 일어났다The Man in the Moon Stayed Up Too Late1924년브리에서 프로도 배긴스가 부른 "고양이와 바이올린"에서 확장
달에 사는 남자6달에 사는 사나이가 너무 빨리 내려왔다The Man in the Moon Came Down Too Soon1915년곤도르를 언급
트롤7트롤 돌The Stone Troll1954년샘와이즈 갬지가 낭독
트롤8페리 더 윙클Perry-the-Winkle
이상한 것9뮤립스The Mewlips1937년원래 이름은 "Knocking at the Door"
동물 우화집10울리펀트Oliphaunt1927년곤도르에서 낭독
동물 우화집11패스트토칼론Fastitocalon1927년
동물 우화집12고양이Cat
분위기와 감섬13그림자 신부Shadow-Bride1936년원래 이름은 "The Shadow Man"
분위기와 감성14비장The Hoard1923년원래 이름은 "Iúmonna Gold Galdre Bewunden"
분위기와 감성15프로도의 꿈Frodos Dreme1934년원래 이름은 "Looney"
분위기와 감성16마지막 배The Last Ship1934년원래 이름은 "Firiel"


  • "톰 봄바딜의 모험"과 "봄바딜은 보트를 타러 간다"는 톰 봄바딜에 관한 시이다.
  • "무예 수련"과 "나의 공주"는 요정에 관한 시이다.
  • "달에 사는 사나이는 너무 늧게 일어났다"와 "달에 사는 사나이가 너무 빨리 내려왔다"는 달에 사는 남자에 관한 이야기이다.
  • "트롤 돌"과 "페리 더 윙클"은 트롤에 관한 시이다.
  • "뮤립스"는 사람을 잡아먹는 상상의 악한 종족에 대한 시이다.
  • "울리펀트"는 거대한 동물 무마킬을 묘사한다.
  • "패스트토칼론"은 섬처럼 거대한 거북이의 모습을 한 바다 괴물에 대한 시이다.
  • "고양이"는 고양이의 내면에 숨겨진 야성을 보여준다.
  • "그림자 신부"는 그림자 없는 남자가 소녀의 그림자를 빼앗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비장"은 엘프, 드워프, 용, 인간이 보물을 놓고 다투는 이야기이다.
  • "바다의 종"은 프로도 배긴스의 악몽을 바탕으로 한 시이다.
  • "마지막 배"는 엘프들이 서쪽으로 떠나는 마지막 배를 바라보는 소녀의 모습을 통해 덧없음과 상실감을 표현한다.

2. 1. 톰 봄바딜 관련

톰 봄바딜에 관한 시는 두 편이 수록되어 있다.

번호제목날짜비고
1톰 봄바딜의 모험1934년톨킨의 아이들이 가지고 있던 네덜란드 인형에서 이름을 따왔다.[13]
2봄바딜, 배를 타다1962년이 시집을 위해 특별히 쓰여졌다.[5]



첫 번째 시인 "톰 봄바딜의 모험"은 1934년 《옥스퍼드 매거진》에 처음 발표되었다.[13] 이 시에서 톰 봄바딜은 강, 나무, 오소리, 언덕 등 자연과 만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숲과 물과 언덕의 주인"[13]으로 묘사된다. 그는 자연의 정령이자, 이름을 붙이는 자이며,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고 스스로 무언가를 소유하는 것을 거부하는 신비로운 존재이다.

두 번째 시인 "봄바딜, 배를 타다"는 이 시집을 위해 톨킨이 새로 쓴 작품이다.[5] 톰 봄바딜이 브랜디와인 강을 따라 내려가는 여정을 그리고 있다.

2. 2. 요정 관련

"무예 수련"은 빌보 배긴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에아렌딜의 노래"와 운율, 박자가 유사하다.[10] 호빗족이 좋아하는 시의 형태로, 이야기가 시작점으로 돌아가 청중이 질릴 때까지 낭송을 계속하는 특징이 있다. 빌보는 이 시의 운율을 만들어낸 것을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10]

"나의 공주"는 호수 위에서 춤추는 요정 공주의 모습을 묘사한 시이다.[10] 요정 공주가 호수 위에서 춤을 추고, 호수에 비치는 모습과 발끝을 맞대고 춤을 추는 사랑스러운 내용이다.

2. 3. 달에 사는 남자 관련

"달에 사는 사나이는 너무 늦게 일어났다"는 브리에서 프로도 배긴스가 부른 "고양이와 바이올린"을 확장한 것이다.[10][7] 호빗빌보 배긴스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이 시는 달에 사는 남자가 여관을 찾아 맥주를 마시며 소동을 일으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달에 사는 사나이가 너무 빨리 내려왔다"는 곤도르를 언급하며, 벨파라스 만과 돌 암로스의 바다를 배경으로 한다.[10][7] 이 시는 달에 사는 남자가 지구의 바다에 떨어져 어부의 배에 구조된 후 여관으로 향했지만 냉대를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4. 트롤 관련

"트롤 돌"은 샘와이즈 갬지가 낭독한 시로, 트롤이 뼈를 갉아먹는 모습을 묘사한다.[10][7] 바위집에 사는 트롤이 묘지에서 훔쳐온 뼈를 갉아먹고 있는데, 장화 신은 톰이 트롤의 엉덩이를 걷어차지만, 상처를 입은 것은 톰의 발이었다.

"페리 더 윙클"은 샘와이즈 갬지가 쓴 것으로 추정되며, 외로운 트롤과 호빗의 우정을 다룬다.[10][7] 혼자 외로운 트롤이 호빗 마을을 방문했을 때, 모두가 도망갔지만 소라껍데기 페리 꼬마만이 친구가 되어 트롤은 꼬마를 대접한다.

2. 5. 그 외

이 시집에는 호빗들이 즐겼던 다양한 주제의 시들이 포함되어 있다.

  • 9. 뮤립스 (The Mewlips): 사람을 잡아먹는 상상의 악한 종족에 대한 시이다. 길을 지나가는 사람들을 잡아먹고 뼈를 자루에 모으는 악한 종족에 관한 시로, 이들에게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멀고 외로운 길을 묘사한다.[10]

  • 11. 패스트토칼론 (Fastitocalon): 섬처럼 거대한 거북이의 모습을 한 바다 괴물에 대한 시이다.[10]

  • 12. 고양이 (Cat): 톨킨이 손녀를 위해 쓴 시로,[10] 뚱뚱한 고양이가 기억하는 사자표범의 싸움을 통해 고양이의 내면에 숨겨진 야성을 보여준다. 톨킨은 이전에 엘프의 적인 "고양이 대공 테비르드"를 등장시켰으나, 이후 이 역할은 사우론에게 대체되었다.

  • 13. 그림자 신부 (Shadow-Bride): 그림자 없는 남자가 소녀의 그림자를 빼앗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0]

  • 14. 비장 (The Hoard): 엘프, 드워프, 용, 인간이 보물을 놓고 다투는 이야기로, 탐욕과 이기심을 비판한다. 이 시는 베오울프에서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10]

  • 15. 바다의 종 (프로도의 꿈, Frodos Dreme): 프로도 배긴스의 악몽을 바탕으로 한 시로, 바다의 종소리에 이끌려 낯선 해안에 도착하는 여정을 그린다. 제4기에 속하는 시로, 어둡고 슬픈 결말을 암시한다.[10]

  • 16. 마지막 배 (The Last Ship): 곤도르에서 유래한 이야기로, 엘프들이 서쪽으로 떠나는 마지막 배를 바라보는 소녀의 모습을 통해 덧없음과 상실감을 표현한다.[10]

3. 출판 이력

1962년 독립형 책으로 처음 출판되었으며, 일부 판에서는 1961년에 출판되었다고 잘못 써있기도 하다. 존 로널드 로웰 톨킨의 편지는 1962년에 톰 봄바딜의 모험이 출판됐음을 알려주고 있다.[14] Unwin Paperbacks 판(1975년) 및 ''시와 이야기''와 같은 일부 판본에서는 1961년에 처음 출판되었다고 잘못 기재되어 있다. 톨킨의 편지를 통해 1962년이 정확한 출판 연도임이 확인되었다.[4]

1966년 ''톨킨 리더''를 시작으로 톨킨의 단편 작품 모음집에 수록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그가 사망한 후에도 이어져 ''시와 이야기'' (1980)와 ''위험한 영역의 이야기'' (1997)에 수록되었다.

2014년 크리스티나 스컬과 웨인 G. 해먼드는 각 시에 대한 상세한 해설, 원본 및 출처를 포함하는 새로운 단독 판본을 편집했다.

이 책에 실린 시 중 "봄바딜의 보트 타기" 단 한 편만이 이 책을 위해 특별히 쓰여졌다.[5]

4. 평가 및 의의

커커스 리뷰(''Kirkus Reviews'')는 1963년에 이 책의 시가 "이상한 운율과 기이한 단어"로 "굴러간다"고 평했다.[9] 이 시들을 "소리내어 읽기 어려운 재미"라고 칭하면서도, 돌 트롤과 톰 봄바딜 그 자체가 "기억에 남는 지인"이긴 하지만, 어린이보다는 어른들이 더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9]

리처드 C. 웨스트는 이 책이 톨킨의 이모인 제인 니브의 아이디어였으며, 니브는 비아트릭스 포터의 작은 책 중 하나와 비슷한 톰 봄바딜에 관한 것을 원했다고 썼다. 하지만 출판사들은 더 큰 책을 원했고, 이에 톨킨은 호빗들이 즐길 만한 시라는 주제로 자신이 가진 것들을 모아 "가능한 한 유사한 것끼리" 묶었으며, "가짜 학문적인 서문"까지 덧붙였다.[10]

톨킨의 흉상(옥스퍼드 대학교·엑서터 칼리지)


톨킨에 따르면, 호빗족의 "서쪽 변경의 붉은 표지 책"에는 많은 시가 실려 있었다. 반지의 제왕에는 일부만 보이지만, 묶이지 않은 페이지와 여백에 엄청난 양의 시가 적혀 있었고, 이 시집의 4번, 11번, 13번 등은 여백의 기록에서 선택되었다.

피터 잭슨 감독의 영화 『반지의 제왕(2001년)』에서 사용된 호빗 구멍에서 바라본 호빗 마을의 풍경.


톨킨이 창조한 호빗족은 토끼의 이미지를 요정화한 듯한 종족으로, '중간계'의 온화한 호빗 마을에 살았다. 그들은 소박하지만 사교성이 좋고, 불꽃놀이, 농담, 파이프, 식사를 좋아했으며, 밝은 옷을 입고 선물과 파티를 즐겼다. 일본어판 번역가 사오토메 타다시는 이들이 앵글로색슨족의 풍습과 톨킨 자신의 생활에 환상의 베일을 씌워 탄생한 것이라고 말한다. 톨킨은 이러한 판타지를 '제2세계'라고 불렀는데, 현실의 제1세계보다 긴장감과 깊이, 꿈이 있으며, 현실 속에 숨겨진 진실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했다.

본 시집에는 톨킨이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쓴 작품이 대부분이지만, 더 이른 시기의 것도 있었고, 2번 '톰 봄바딜은 작은 배를 탄다'는 출판을 위해 새로 썼다. 1번 '톰 봄바딜의 모험', 5번 '달에 사는 남자 둔중의 권', 7번 '바위 동굴의 거인', 10번 '코끼리' 등 4편은 『반지 전쟁』에서도 불린다.

이 시들은 주로 제3시대 말 무렵 호빗 마을의 설화나 웃음거리를 다루며, 경쾌하고 유머러스하다. 호빗 마을에서는 시가 자연스러운 표현 수단으로 여겨졌고, 이러한 설정 덕분에 노래, 발라드, 수수께끼 등을 만들어내는 톨킨의 재능이 잘 활용되었다. 영어 원시는 각운, 두운, 어구 반복이 풍부하고 운율과 연 형식이 다양하여 소리가 아름답게 울려 퍼지는 시화집이다. 톨킨의 시는 해학시나 난센스 시 외에도 죽음의 나라에 사는 묘인(塚人), 섬뜩한 뮤립족, 샤미소의 『페터 슐레밀 기담』을 연상시키는 그림자를 빼앗는 남자 등 공포와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인물군도 등장한다.

톰 봄바딜에 관한 시는 두 편이 있는데, 첫 번째 시에서는 그의 자연과의 친근함이 아름답게 표현되어 있다. 그는 "숲과 물과 언덕의 주인"이자 자연의 영(靈), 명명자(命名者)이며,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고 스스로 무언가를 소유하는 것을 거부하는 별난 인물이다. 그는 마법사 간달프와 공통점이 있는데, 톨킨에 따르면 이 둘은 "자비롭고 어딘가 신비로우며 변덕스럽지만, 그럼에도 유쾌한 인물"이다.

톨킨 가족에게 톰 봄바딜은 친숙했다. 그 이름은 차남 마이클의 네덜란드 인형에서 따왔다. 장남 존은 이 인형을 싫어해서 변기에 넣었지만, 톰은 구출되었고, 톨킨은 그를 주인공으로 한 "톰 봄바딜의 모험"을 썼다. 1937년, 『호빗』이 호평받자 톨킨은 톰 봄바딜 이야기를 더 부풀리는 제안을 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그는 톰 봄바딜에 대해 "(사라져가는) 옥스퍼드와 버크셔의 전원의 정신"을 표현하려 했다고 설명한다.

사오토메에 따르면, 톰 봄바딜은 트릭스터로서, 신과 인간, 자연과 문화, 질서와 혼돈 모두에 자유롭게 드나들며 쌍방을 중재하는 "장난꾸러기"이며, 청년의 충동적인 에너지와 변덕, 노인의 냉철한 지혜를 함께 갖춘 존재이다. 이처럼 생명 전체를 지배하는 자율적인 존재의 시를 머리에 두고, 요정의 나라를 동경하면서 현실 세계를 날아오르지 못하는 소녀 피리엘의 시로 끝나는 이 시집은 톨킨 문학의 본질을 세밀화처럼 보여준다.

4. 1. 한국 사회와의 연관성

톰 봄바딜의 자연 친화적인 모습은 환경 문제와 생태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1] 그는 "숲과 물과 언덕의 주인"[2]으로 묘사되며, 자연의 영(靈)이자 누구에게도 지배받지 않는 존재로 그려진다.[3] 이러한 모습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한국의 전통 사상과도 맞닿아 있다.

"비장"에서 드러나는 탐욕과 이기심에 대한 비판은 물질만능주의와 경쟁 사회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4] 이는 과도한 경쟁과 물질적 풍요만을 추구하는 현대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유도한다.

"마지막 배"의 덧없음과 상실감은 급격한 사회 변화와 세대 간 단절을 경험하는 한국 사회의 정서와 공명하는 부분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J. R. R. Tolkien Companion and Guide HarperCollins 2006
[2] 백과사전 The J. R. R. Tolkie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3] 저널 Sailing West: Tolkien, the Saint Brendan Story, and the Idea of Paradise in the West https://dc.swosu.edu[...] 1991
[4]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George Allen & Unwin 1981
[5]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 and other poetry https://www.tolkiene[...] Tolkien Estate 2015
[6] 웹사이트 Listen to J.R.R. Tolkien Read Poems from The Fellowship of the Ring, in Elvish and English (1952) http://www.opencultu[...] Open Culture 2012-09-10
[7] 백과사전 The J. R. R. Tolkien Encyclopedia Routledge 2006
[8] 저널 Who is Tom Bombadil?: Interpreting the Light in Frodo Baggins and Tom Bombadil's Role in the Healing of Traumatic Memory in J.R.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https://scholar.valp[...] 2018
[9] 웹사이트 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 https://www.kirkusre[...]
[10] 저널 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 and Other Verses from the Red Book by J.R.R. Tolkien
[11] 서적 J.R.R. Tolkien Encyclopedia: Scholarship and Critical Assessmen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7
[12] 저널 Sailing West: Tolkien, the Saint Brendan Story, and the Idea of Paradise in the West https://dc.swosu.edu[...] 1991-07-15
[13] 저널 Who is Tom Bombadil?: Interpreting the Light in Frodo Baggins and Tom Bombadil's Role in the Healing of Traumatic Memory in J.R.R. Tolkien's _Lord of the Rings_ https://scholar.valp[...] 2018-06-27
[14] 웹인용 'Tolkien Estate {{!}} The Adventures of Tom Bombadil' https://www.tolkiene[...] 2021-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